이번 글은 사람들이 꽤나 많이 사용을 하고 있고, 사용을 원하는 부류도 많은만큼 플러그인 소개의 시작을 MMD의 유래를 소개하는 것으로 시작을 해볼까한다.
미쿠미쿠 댄스(MikuMiku Dance)에서 따온 약자이다. 기본적인 모델인 하츠네 미쿠를 바탕으로 댄스가 진행되었기 때문에 미쿠미쿠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MMD를 돌린다는게 말이 좀 이상한데, 자체적으로 있는 동영상이 아니라 특정 게임들 안에서 원하는 캐릭터로 댄스를 추게 하는 것이라고 보면 된다.
자, 각설하고 춤추게 하는 프로그램이라는 것만 알아두자. <진하게> 이제 설명 들어간다.
<경고:중간에 무조건 따라하지 말고 끝까지 보고 선택해서 해야함>
크게 이야기해서는 두가지가 있다. 그중 하나는 유료와 무료가 있으며 나머지 하나는 무료이다. 전자는 ZHFX의 VMD MMD Player이고 나머지 하나는 BepInEX의VAMVMDPlayPlugin이다.
둘 다 써보고 판단하는 것이 제일 좋겠지만 유료라는 것에 대해서 지출이 생기므로 부담감이 생긴다. 그렇기에 유료에 따른 무료버전을 제시하여 즐겨보고 판단하는 것도 좋다고 생각한다.
중간에 말하지만 우리가 쓰려는 것은 <Virt a Mate>. 즉 VaM이라는 게임에서 쓰일 MMD이다. 혹시 다른 게임에서의 MMD를 원하고 있다면 지체없이 이 블로그의 X표시를 누르자.
우리는 Vam을 위한 Vam에 관한 이야기를 진행하는 중이다.
MMD라는 프로그램을 받는 것은 몇 가지 방법이 있다.
패트론을 후원 및 결재를 해서 업데이트 되는 것을 마구 누리면서 즐기는 금수저형이 있고, "어디 뭐 좋은 공짜 없나?" 하는 흙수저들이 있다. 글쓴이는 후자다.
ZHFX나BepInEX. 둘 모두 방법의 차이가 발생할 뿐이지 결국 비슷한 콘텐츠를 소모하는 것은 동일하다.
서울에서 부산까지 가는데 람보르기니를 타고가나 티코를 타고가나 어짜피 부산가는건 동일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각각 시간의 차이, 편의성의 차이가 존재하듯이 MMD 플레이어에도 각각의 만족감이 틀리다.
그렇기에 어떤 선택을 하든지 그것은 자신이 판단하고 책임을 가져야 할 문제다.
서론이 너무 길었다. 우선 ZHFX의 패트론을 구경하자.
아래 링크에서 후원하고 플러그인을 받으면 된다. 방법에 대한 설명은 각각의 금액에 따라 설명이 적혀있다. (영어를 못하는 사람은 크롬 번역 추천)
ZHFX is creating VaM plugins, and other 3D VR game software | Patreon
Become a patron of ZHFX today: Get access to exclusive content and experiences on the world’s largest membership platform for artists and creators.
www.patreon.com
여기에 후원을 하게되면 각각의 클래스에 따라서 5, 10, 20의 가격을 내야하는데 그것이 달러가 아니라 유로이다. 이런 점들을 주의하고 진행하기 바란다.
사용을 한 사람들 사이에서 꽤 만족도가 높다고 한다. 100명 이상의 글들을 읽어본 결과 너무 마음에 드는데 가격이 너무 비싸다라는 의견이 제일 많다.
플러그인 하나에 4만원이라는 가격은 터무니없이 높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당연하게도 클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그러니 자신의 판단에 따라서 행동하는 것이 좋다.
아래에 파일을 다운 받아주도록 한다.
파일을 받고 압축을 풀어주게되면
이렇게 파일 두개가 보이게 되는데 따로 만지지 말고 압축을 푼 폴더 자체를 VaM/Custom/Scripts 안으로 옮겨주자. 그리고 인게임으로 들어가자. 물론 MMD를 실행할 씬을 로딩해주는 것은 기본이다.
글로 쓰는 것보다 사진을 보면서 따라하는 것이 더 빠르고 이해가 쉽다. 위의 사진들의 순서대로 따라해서 MMD Player를 적용시켜보자.
우리는 맛만 볼 것이니까 위의 에러 로그같은 것은 싹 무시해주도록 하고 진행하자.
여기까지 했다면 당신도 이제는 캐릭터의 시원시원한 춤사위를 느낄 수 있는 기본적인 자격이 되는 것이다. 위의 플러그인 설정에 보면 Open Custom UI...을 눌러서 들어가자.
순서대로 설명하겠다.
Load VMD는 춤이 저장되어있는 vmd 파일의 위치를 설정해주는 것이고 Load Music은 음악파일이 같은 이름이 아닌 경우 설정해주면 된다.
Auto. Play는 파일을 설정해서 골랐을때 자동으로 플레이되게 만드는 체크이며 아래의 플레이와 스톱은 말 안해도 알 것이다.
Bake는 VaM에서 씬 에니메이션을 만들때 유용하긴 하지만 요즘 Timeline이라는 플러그인에 밀려서 쓰지 않는 추세가 되었으므로 편집하며 포즈를 고칠 수 없는 씬 애니메이션에 시간 들이지 말고 Timeline 쓰자. Timeline은 다음 플러그인 소개 시리즈로 진행할 계획이다.
1. 유튜브를 클릭하자.
2. 유튜브 검색창에 원하는 가수 이름과 음악의 이름 그리고 mmd라 쓰고 검색한다.
mmd라고만 검색해도 많이 나오지만 필요한 것들을 검색해서 찾아야 헛걸음을 안하므로 이것저것 검색해보자. 필자는 설명하기 위해 나인뮤지스를 입력함.
3. 원하는 것을 들어가서 대충 자신이 찾는 것이 맞는지 동영상을 훑어본다. 대부분 맞다.
4. 여기서부터 중요! 동영상 설명란을 본다.
대부분 더 보기를 눌러야 제대로 볼 수 있으니 꼭 눌러서 확인하자.
5. 우리는 딴건 다 필요없다. DL을 찾자! 그리고 다운 받자.
다 설명이고 DL만 다운로드가 가능한 위치를 설명한다. 예시로 올린 사진은 구글 드라이브에 있다는 소리다. 여기에 들어가서 다운 받으면 된다. 구글 드라이브 뿐만 아니라 각각의 사이트들로 주소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도 흔하니 들어가서 찾을 것.
6. 편의성을 위해 VaM안에 있는 폴더중에 Save 폴더에 옮기자.
플러그인에서 모션을 찾을때 처음에 뜨는 폴더가 save 폴더이다. 이곳에 압축을 풀어 옮기자. 따로 MMD폴더를 만들어서 그곳에 모아놓는 것이 좋다. 차후에 다른 파일들이랑 섞여서 낭패를 볼 수도 있으니 말이다.
플러그인에서 Load Vmd를 누르고 음악모션을 찾자.
저기 있는 파일들중에 Natsumi San이라고 쓰여진 것이 있는데 이 제작자의 것은 패트론을 후원하고 받아야하는 유료 파일들이다. 대부분이 유료고 오래전에 만든것은 무료가 가끔 있다. 개인적으로 공유는 하지 않으니 필자에게 DM 보내지 말자.
찾았다면 이제 클릭해서 실행시키자.
mp3와 파일이름이 동일하다면 음악을 바로 찾아준다. 이름이 틀리다면 미리 이름을 동일하게 만들어주면 계속 편하니 이정도는 귀찮아하지 말것. 플레이를 시켜보자.
팁. 하이힐을 적용하면 발이 꺽여서 각기춤을 추니 대충 맨발이나 슬리퍼로 대신하자. 유료파일을 누가 올려놓은 것을 찾아서 쓰다가 파일 다 날릴 수 있으니 조심할 것.
(현재 제작자의 파일을 받아서 사용하다 var파일이 전부 인식이 안되어 그동안의 시간을 다 날렸다는 유저가 꽤 보인다. 이게 사실이라면 제작자는 정말.. 답이 없다.)
유료를 대충 받아서 쓰다가 무료를 돌리려면 라이센스 문제때문에 무료도 실행되지 않음을 주의할 것.
이 플러그인은 복잡하다면 복잡하지만 다양한 구성으로 위에 설명한 플러그인을 뺨치게 잡을 수 있다. 즉 알기위해 노력을 해야한다는 것. 이건 하이힐에 제약도 없다.(물론 설정을 건들여줘야한다.)
이걸 먼저 받자
그리고 아래 링크로 들어가자.
https://github.com/BepInEx/BepInEx
GitHub - BepInEx/BepInEx: Unity / XNA game patcher and plugin framework
Unity / XNA game patcher and plugin framework. Contribute to BepInEx/BepInEx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세상에! 영어다. 자, 여기서부터 머리가 아픈 사람은 윈도우 창의 X를 눌러서 나가버리겠지. 여기서는 조금 떠먹여줄테니 입벌려라.
우린 어짜피 최신버전만 받으면 되니 저기 빨강색으로 네모친 Release만 클릭하자.
버전 6으로 개발중이네 뭐네 하는 소리는 다 무시하고 아래에서 다운받자. 둘중에 뭐가 필요한지는 본인이 제일 잘 알것이다. 설마 이것까지 설명해달라고는 하지 않겠지?
둘 다 다운을 받았다면 순서대로 압축을 풀어서 모두 VaM폴더 안에 넣자. 꼭 다른 폴더 말고 VaM폴더 안에 넣자. (여기서 사람들이 오해하는게 압축을 푼 폴더를 넣는게 아니라 안에 있는 모든 파일을 넣는거임)
그리고 그냥 실행하자. 만약 실행했는데 플러그인을 설정해서 튕긴다던가 실행이 안된다던가 한다면 방법이 몇가지 있다.
1. 두번째를 먼저 풀고 첫번째를 풀어서 다 덮어씌운 후 게임실행
2. VaM/VaM_Data/Managed에 있는 Mono.cecil.dll을 복사해서 하나 더 만들고 이름을 Mono.cecil.bak으로 변경해준뒤 기존에 있는 Mono.cecil.dll을 VaM/BepinEx/core에 넣어준다. 물론 덮어씌우기.
3. 다했는데도 안되는 경우 지금까지 압축을 푼 파일을 찾아서 다 지우고 다시 해본다.
주의점 - 절대 게임을 실행시킨 상태에서 하면 안됨. 3번까지도 해보고 재부팅 해서 잘 된 사람도 은근 있다. 여기까지도 했는데 안되었다? 그냥 포기하자. 필자는 1번부터 3번까지 5번 하고 재부팅 2번 하다보니 갑자기 잘되었다. 이유가 뭔지 아시는분은 제보 부탁드린다. 정상으로 깔렸다면 아래의 사진이 인게임에 나온다.
이 프로그램은 생각보다 친절하지 않고 알아서 해주지 않는다. 하지만 ZHFX의 그것보다 훨씬 유용하다고 생각된다. 이유는? 무료니까. 이제부터 천천히 따라하며 세팅을 해보자. 사진 보면서 빠르게 진행하자. 순수 필자의 설명이 아닌 기존에 존재하던 설명을 한국사람에 맞게 빠르게 간다.
두 니플의 설정을 보자. 설정이 On으로 되어있다면 무조건 Off로 바꾸어줄것. 안그러면 미친듯이 현란한 그것을 보게 되며 캐릭터가 이세상의 그 무엇도 아닌 괴기한 것으로 바뀔 확률이 매우 높다.
캐릭터 부위에서 팔꿈치 선택
여기까지 했으면 캐릭터의 설정은 끝난 것이고, 이제 괴기스런 생명체를 탄생시키는 것에는 안전해졌다. 당해보면 뭔 말인지 알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안당해보는게 나을 것이라 생각함.
플러그인 설정에서 VAMVMDPlayUI.cs를 클릭해서 설정해준다. (대부분 여기서 게임이 튕기므로 그현상이 발생되면 위의 1번부터 3번까지 다시 할것.)
여기서 캐릭터가 미쳐날뛰며 발광할 수 있는데 쫄지 말고바로 다음으로 진행한다. (진짜 쫄지 말아야한다.)
Show ConFig을 누르든 아니면 Ctrl+Shift+V를 하자. 그럼 아래와 같은 창이 뜬다.
체크가 안되있다면 Off라고 써진 곳을 클릭하자. All 상태일 때 해야함.
Move scale을 0.85로 설정해야 좋다고 해서 돌려봤더니 이 말이 맞는 것 같다. 생각하지 말고 0.85 맞추자.
카메라는 개인적으로 움직이므로 필자는 불필요하지만 카메라를 설정할 사람은 위처럼 하자.
여기까지 하면 모든 세팅이 끝난것이다. 그동안 힘들었겠지만 이제 놀라운 춤사위가 그대를 기다리고 있으니 기대만 하면 된다.
VMD란과 Sound란이 있는데 사운드는 세번째 탭에서도 따로 설정 가능하다.
1번을 눌러 vmd파일을 불러 설정하고,
음악을 설정해준 뒤에 꼬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2번을 눌러 각각 로드를 한번씩 해주고,
3번의 플레이관련 버튼을 눌러서 감상을 해주면 된다.
올리느라 시간이 많이 걸렸고, 보는 사람도 아마 시간이 많이 걸렸으리라 생각한다. 하지만 MMD는 꽤나 매력적으로 다가와 따라해보는 사람들이 후회가 없을 것이라고 다짐한다.
Virt a Mate 2.x, 2.0, VaM2.0 Alpha Preview 뱀 2.X 알파버전 공개. 찍먹해보자 (2) | 2021.12.22 |
---|---|
<플러그인> VaM 인게임에서 동영상을 보자 VideoController Plugin (0) | 2021.11.05 |
Virt a Mate (vam) 플러그인(plugin) 리뷰 - Glance <사실적인 시선> (4) | 2021.08.01 |
Virt a Mate (VaM) 에서 플러그인 다운 및 적용 방법 (0) | 2021.07.11 |
Virt a Mate (VaM) 심화편 - 조명을 사용해보자 (1) | 2021.06.16 |